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이재명 지방선거
- 이재명 인천계양을 국회의원 후보
- 윤석열 퇴진 집회 장소
- 윤석열 정권퇴진
- 촛불집회 일정
- 정권퇴진 촛불시위
- 정치검사 탄핵
- 우리나라 인구변화
- 시민단체 촛불행동
- 청계광장 촛불시위
- 61지방선거 재보궐선거 인천계양을
- 인구소멸
- 우리나라 인구감소
- 인천계양을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 이재명
- 대한민국 인구
- 정치검찰
- 촛불대행진
- 이재명 페이스북
- 이재명 후보 선거운동
- 촛불집회
- 윤석열 탄핵
- 초등 수학
- 김건희 특검
- 윤석열 정권 퇴진
- 김건희 주가조작
- 윤석열 퇴진집회
- 윤석열 퇴진 집회
- 우리나라 인구 증감율
- 윤석열 퇴진
목록생활정보 (38)
트렌드 리뷰

많은 사람들이 후회없는 삶을 살고 싶어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죽을 때 많은 후회를 남긴다고 합니다. 각자 가진 생각과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들이 저마다 후회하는 이유는 제각각일 것입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특이하게도 마지막에 사람들은 다들 비슷한 후회를 한다고 합니다. 정재영 작가의 책 '삶의 끝에서 비로소 깨닫게 되는 것들' 에서는 사람들이 삶의 마지막에 후회하는 5가지를 아래와 같이 소개합니다. 1. 원하는 삶을 살지 않은 것 2. 일만 열심히 하고 산 것 3. 자기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지 못하고 산 것 4. 친구들과 연락을 유지하지 못하고 멀어진 것 5. 행복을 선택하지 않은 것 위 내용을 반대로 하면, 후회를 최소화 할 수 있지 않을까요? 위 내용을 반대로 실천하여, 후회없는 삶 혹은 후..

초중고 학생들이 부모님께 가장 듣고 싶은 말은 "우리 딸/아들 정말 잘 했어." 인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또한 선생님께 가장 듣고 싶은 말 역시 "참 잘 했어요." 로 나타났으며, 친구에게 가장 듣고 싶은 말은 "내 친구가 되어줘서 고마워."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시교육청은 언어문화 개선과 관계회복을 위한 예방교육의 일환으로 공모전을 시행하여, 아래의 3가지 주제에 대해서 응모작을 받은 후 빈도순으로, 학생이 듣고 싶은 말 Top10 을 선정하였습니다. 1. 학생이 친구에게 듣고 싶은 말 2. 학생이 부모님에게 듣고 싶은 말 3. 학생이 선생님에게 듣고 싶은 말 위 공모전 2021년 10월15일~2021년 11월5일 까지의 공모기간을 통해 응모작을 접수받았으며, 결과발표는 2021년 11월 12일날 이루..

-최근 9일 연속 1만명 이상 확진자 발생 -최근 9일 연령별 확진자 최다 발생 연령대는 20대와 10대 -오미크론 대유행 시기에는 재택치료 및 중증화 이행환자 모니터링 등 경증환자에 대한 관리역량 중요 2월3일 0시 기준 국내 코로나 확진자가 2만명을 넘어선 22,907명을 기록했습니다. 명절연휴에도 불구하고, 이틀연속 2만명을 넘어선 확진자가 나오며, 확진자 증가 추세를 이어갔습니다.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확산이 확진자 급증의 원인으로 보입니다. 전체 누적 확진자도 2월3일 처음으로 90만명을 넘어섰습니다. 지금의 추세가 이어질 경우, 국내 총 누적확진자는 곧 1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보입니다. 최근 확진자가 1만명을 돌파하기 시작한 1월26일~2월3일 까지 총9일간의 연령별 확진자 분포를 살펴..

2022년 대한민국의 최저시급은 9,160원으로 전년대비 5.1%(440원) 인상되었습니다. 이를 일급과 월급으로 환산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로 2009년~2022년 까지의 최저임금을 살펴포면 아래와 같습니다. 우리나라의 최저임금은 2018년과 2019년 두해 각각 16.4% 와 10.9% 인상된 이후로 낮은 수준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연도별 최저시급을 일급과 월급으로 환산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2022년의 경우 최저시급으로 한달동안 26일 근로한다는 가정시의 월급여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최저 시급은 최저임금위원회의 논의 및 의결을 거쳐 고용노동부 장관이 결정 및 고시하는 방식으로 결정됩니다. 이때 최저시급의 구체적 금액을 의결하는 기구인 최저임금위원회는 사용자, 근로자, 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