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윤석열 퇴진
- 정치검사 탄핵
- 윤석열 정권퇴진
- 이재명 후보 선거운동
- 61지방선거 재보궐선거 인천계양을
- 윤석열 퇴진 집회 장소
- 대한민국 인구
- 촛불집회 일정
- 촛불집회
- 이재명
- 김건희 특검
- 이재명 페이스북
- 우리나라 인구감소
- 인구소멸
- 초등 수학
- 윤석열 탄핵
- 청계광장 촛불시위
- 윤석열 퇴진 집회
- 김건희 주가조작
- 우리나라 인구 증감율
- 시민단체 촛불행동
- 윤석열 정권 퇴진
- 촛불대행진
- 우리나라 인구변화
- 이재명 인천계양을 국회의원 후보
- 정치검찰
- 인천계양을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 윤석열 퇴진집회
- 정권퇴진 촛불시위
- 이재명 지방선거
트렌드 리뷰
한국 출생아 대비 사망자 수 현황 본문
한국 출생아 대비 사망자 수 현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나라는 2022년 합계출산율 0.78 이라는 지표를 받아보고 큰 충격에 휩싸였습니다. 인구소멸이라는 표현이 무색할 정도로 출생아 수가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급기야 2020년 부터는 연간 사망자 수 보다 더 적은 출생아 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2010년 부터 2022년 까지의 출생아 수와 사망자 수 추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본 글에서는 아래 두가지 내용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우리나라 출생아 대비 사망자수 현황 요약
2. 년도별 출생아 대비 사망자 수 비교
1. 우리나라 출생아 대비 사망자수 현황 요약
1970년 이후 우리나라 통계를 살펴보면, 출생아 수는 언제나 사망자 보다 많았습니다. 그러나 점진적으로 출생아 수가 감소하면서, 2020년 부터는 출생자 수와 사망자 수가 역전되었습니다. 즉, 현재는 사망자 보다 출생아 수가 더 적습니다. 특히, 2022년의 경우 사망자는 출생아 보다 10만명 이상 더 많습니다.
노령화로 인해 사망자수가 늘어나는 반면, 출산율 감소로 출생아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며 이와 같은 상황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2. 년도별 출생아 대비 사망자 수 비교
2010년~2022년 까지의 년도별 우리나라 출생아 대비 사망자 수 현황입니다. 불과 10년전인 2012년에는 출생아 수가 사망자 수 보다 약 20만명 이상 많았으나, 2020년 출생아 수와 사망자 수가 역전되기 시작해 2022년에는 출생아 수가 사망자 수보다 약 12만명 더 적습니다. 이민 인구가 많지 않은 우리나라 상황에서, 이는 전체인구 감소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당분간 이러한 추세가 크게 바뀌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러한 현상 때문에, 대한민국 인구소멸론 까지 등장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출산율이 급격하게 감소했다는 것이 의미하는 바에 대해 우리사회 전체가 고민해야 할 것입니다.
'인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시군별 인구 현황(2023년10월 기준) (0) | 2023.11.26 |
---|---|
현재 10대 인구는 40대의 절반 수준(22년 통계청 발표기준) (0) | 2023.10.15 |
한국 년도별 사망자 수(1970년~2022년) (0) | 2023.06.07 |
한국 년도별 출생아 수(1970년~2022년) (0) | 2023.06.06 |
인구 1억 이상 국가 목록 (0) | 2023.06.02 |